내용 바로 가기

차례 바로 가기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다3

마가복음—히브리어 성경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용하지 않은 부분에 여호와라는 이름이 나오는 구절들

마가복음 5:19 “여호와께서 당신에게 해 주신 모든 일”

근거: 대부분의 그리스어 사본들에서는 이 부분에 “주”(호 키리오스)가 사용되었지만, 이 구절에 하느님의 이름을 사용할 만한 타당한 이유들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키리오스는 문맥에 따라 여호와 하느님을 가리킬 수도 있고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킬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문맥을 볼 때 키리오스가 하느님을 가리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수께서는 고침을 받은 남자에게 말씀하시면서 그 기적이 자신이 아니라 하늘에 계신 아버지에게서 비롯된 것임을 밝히고 계십니다. 누가가 동일한 사건을 기록하면서 (누가복음 8:39) 그리스어 테오스(하느님)를 사용했다는 점은 마가복음 5:19에 나오는 키리오스(주)가 하느님을 가리킨다는 점을 뒷받침합니다. 그에 더해, ‘~가 당신에게 해 주신 일’과 ‘~가 베풀어 주신 자비’라는 표현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표현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동사들이 히브리어 성경에서 하느님께서 인간에게 하신 일을 언급할 때 그분의 이름 여호와와 함께 자주 사용되기 때문입니다.—창세기 21:1; 출애굽기 13:8; 신명기 4:34; 13:17; 30:3; 사무엘상 12:7; 25:30; 열왕기하 13:23.

뒷받침하는 자료:

  • 「신약 및 초기 그리스도교 문헌 그리스어-영어 사전」(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F. W. 댕커 개정, 2000년, 576-577면)은 “주”라는 표현이 “하느님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 예로 마가복음 5:19을 제시합니다. 또한 “주”라는 표현이 「칠십인역」[LXX]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이 표현은 마소라 본문에 나오는 야훼라는 이름을 대치하는 표현으로 자주 사용된다.”

  • 「신약 주석 사전」(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1991년, 2권, 329-330면)에서는 키리오스가 “야훼에 해당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구절로 마가복음 5:19을 제시합니다.

  • 「성 마가의 복음서—그리스어 본문 및 해설과 색인」(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The Greek Text With Introduction Notes and Indices], 헨리 바클리 스웨트, 1902년)은 여기 나오는 키리오스를 יהוה(YHWH 또는 테트라그람마톤)로 번역할 수 있다고 밝힙니다.

  • 「성 마가의 복음서 해석」(The Interpretation of St. Mark’s Gospel, R.C.H. 렌스키, 216면)에서는 이 구절에 대해 이렇게 알려 줍니다. “Ὁ Κύριος[호 키리오스]는 구약에 나오는 계약의 하느님 야훼이다.. . . 이 남자와 그의 말을 듣는 사람들은 모두 여호와께서 그분의 종 예수를 통해 자신들의 고장에 오셔서 이 놀라운 일을 행하셨다는 것을 알아야 했다.”

  • 「신약 본문 비평의 원칙과 실제」(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New Testament Textual Criticism, G. D. 킬패트릭)에서는 “Κύριος[키리오스] = 야훼”가 적용되는 구절들 중 하나로 마가복음 5:19을 제시합니다.

  • 「유대인 성경전서」(Complete Jewish Bible, 데이비드 H. 스턴, 1998년)는 이 구절에서 대문자와 작은 대문자로 된 “ADONAI(아도나이)를 사용합니다. 이 성경의 서문에는 다음과 같은 번역자의 말이 들어 있습니다. “번역자로서. . . ‘쿠리오스’[‘키리오스’]가 테트라그람마톤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표현이라고 여겨지는 경우에는 항상 ‘ADONAI를 사용했다.”

  • 「성 마가의 복음서: 그리스어 본문 및 서문, 해설, 색인」(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The Greek Text With Introduction, Notes, and Indexes, 빈센트 테일러, 1952년, 285면)에서는 이 구절에 나오는 키리오스(주)가 “하느님을 가리킨다”고 알려 줍니다.

  • 조지프 애디슨 알렉산더는 자신의 저서 「마가복음」(The Gospel According to Mark, 1858년)에서 이 구절에 나오는 “주”라는 “모호한 표현”이 그리스도를 가리킨다는 견해를 제시합니다. 하지만 그는 다음과 같은 설명을 덧붙입니다. “듣는 사람들은 [이 표현이] 막연하게 하느님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이해했을 수 있다. 어쩌면 하느님께서 자신의 백성과 맺고 계신 계약 관계를 떠올리면서, 히브리어 이름 여호와로 알려진 하느님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생각했을지 모른다. 칠십인역과 신약에서는 그 이름에 해당하는 표현으로, 아니 그 이름을 대치하는 표현으로 주(ὁ κύριος[호 키리오스])가 일관되게 사용되었다.”

참고 문헌: J7-10, 13, 17, 18, 22, 28-32, 34, 36, 41, 44, 52, 63, 93-96, 100, 104-106, 114-117, 125, 132, 138, 144, 146, 167, 186, 187, 254, 262, 268, 306, 310, 317, 321, 323-325

마가복음 13:20 “여호와께서 그 날들을 단축하지 않으신다면”

근거: 대부분의 그리스어 사본들에서는 이 부분에 키리오스(주)가 사용되었지만, 이 구절에 하느님의 이름을 사용할 만한 타당한 이유들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키리오스는 문맥에 따라 여호와 하느님을 가리킬 수도 있고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킬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문맥을 볼 때 키리오스가 하느님을 가리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수께서 자신의 아버지께서 큰 환난 중에 하실 일을 제자들에게 설명하시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이 구절에서 예수께서 하신 예언에 사용된 표현은 히브리어 성경의 몇몇 예언들(이사야 1:9; 65:8; 예레미야 46:28[칠십인역에서는 26:28]; 아모스 9:8)에 나오는 표현과 유사한데, 그 구절들에는 하느님의 이름이 들어 있습니다. 그 네 구절의 히브리어 본문에는 테트라그람마톤이 나오지만 「칠십인역」의 현존하는 사본들에서는 그 자리에 키리오스가 사용되었습니다. 유의할 만한 점은, 문법적으로 키리오스 앞에 정관사가 있어야 하는데 정관사가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그와 비슷하게, 학자들은 마가복음 13:20키리오스 앞에도 정관사가 있어야 하는데 정관사가 쓰이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이것은 이 구절에서 하느님의 이름이 키리오스로 대치되었음을 알려 주는 또 다른 단서입니다.

뒷받침하는 자료:

  • 「신약 및 초기 그리스도교 문헌 그리스어-영어 사전」(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F. W. 댕커 개정, 2000년, 576-577면)은 “주”라는 표현이 “하느님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 예로 마가복음 13:20을 제시합니다. 그리고 이 단어가 “관사 없이 쓰이면. . . 고유 명사와 같다”고 덧붙입니다.

  • 「신약 주석 사전」(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1991년, 2권, 329-330면)에서는 키리오스가 “야훼에 해당하는 표현으로” 사용된 구절로 마가복음 13:20을 제시합니다.

  • 「신약 본문 비평의 원칙과 실제」(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New Testament Textual Criticism, G. D. 킬패트릭)에서는 “Κύριος[키리오스] = 야훼”가 적용되는 구절들 중 하나로 마가복음 13:20을 제시합니다.

  • J. N. 다비의 「성경」(The ‘Holy Scriptures’, 1949년)에는 이 구절에 나오는 “주”라는 표현에 이러한 각주가 달려 있습니다. “관사 없이 사용되면 ‘여호와’를 가리킨다.”

  • 「성 마가의 복음서—그리스어 본문 및 해설과 색인」(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The Greek Text With Introduction Notes and Indices], 헨리 바클리 스웨트, 1902년)은 여기 나오는 키리오스를 יהוה(YHWH 또는 테트라그람마톤)로 번역할 수 있다고 밝힙니다.

  • 「성 마가의 복음서: 그리스어 본문 및 서문, 해설, 색인」(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The Greek Text With Introduction, Notes, and Indexes, 빈센트 테일러, 1952년) 514면에서는 그리스어 본문에서 이 구절에 나오는 키리오스(주)에 대해 이렇게 설명합니다. “이 구절에는 여러 묵시론적 저술물에 들어 있는 사상, 즉 하느님께서 자신이 선택하신 자들을 위해 자비를 나타내시어 인류의 환난 기간을 단축하신다는 사상이. . . 분명히 표현되어 있다.” 테일러는 515면에서 이렇게 덧붙입니다. “관사 없이 Κύριος[쿠리오스]를 사용하는 것은 [구약을] 인용한 부분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 D. 에드먼드 히버트가 마가복음에 관해 해설한 책인 「마가복음」(The Gospel of Mark, 1994년, 378면)에는 마가복음 13:20에 다음과 같은 설명이 들어 있습니다. “ 즉 구약의 하느님 여호와는 세상사를 관장하는 주권자로서, 은혜로우시게도 그 날들에 한계를 정하셨다.”

  • 조지프 애디슨 알렉산더의 「마가복음」(The Gospel According to Mark, 1858년)에는 마가복음 13:20에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옵니다. “ 즉 주권자이신 하느님 여호와.”

  • 「컴패니언 성서」(The Companion Bible, E. W. 벌링어 주, 1999년판)에서는 마가복음 13:20의 본문에 대문자와 작은 대문자로 된 LORD(주)를 사용합니다. 또한 부록 98에 “주”라는 표현에 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옵니다. “여호와를 가리키는 표현.. . . 일관되게 ‘LORD’로 표기됨.”

  • 「성경, 흠정역 구약 및 신약 수록」(The Holy Bible, Containing the Authorized Version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J. T. 콘퀘스트, 1841년)은 마가복음 13:20의 본문에 대문자로 된 LORD(주)를 사용합니다.

  • 다음의 영어 번역판에서는 마가복음 13:20에서 “주” 대신 “하느님”을 사용합니다. 「유대인 성경전서」(Complete Jewish Bible), 「번역자의 신약」(A Translator’s Translation of the New Testament), 「해설 성경」(The Expanded Bible), 「말씀—신세기역, 신약」(The Word New Century Version, New Testament).

  • 「번역자 핸드북—마가복음」(A Translator’s Handbook on the Gospel of Mark, 세계 성서 공회 연합회)에서는 이 구절에 관해 이렇게 알려 줍니다. “‘주’: 이 구절에서는 당연히 하느님을 가리킨다.”

참고 문헌: J7, 8, 10, 16-18, 22-24, 28-36, 39-43, 46-48, 52, 61, 63, 65, 88, 90, 92-97, 100-102, 104, 106, 114-116, 125, 132, 138, 142, 144-147, 154, 163, 167, 172, 187, 222, 250, 254, 262, 268, 271, 273, 288, 290, 295, 310, 317, 321, 323-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