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데이—당신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메이데이—당신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메이데이—당신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깨어라!」 영국 집필자

메이데이라는 말을 들으면 무엇이 생각납니까? 시가행진이나 데모가 생각납니까? 꽃과 리본으로 장식한 기둥인 메이폴 주위에서 춤을 추는 것이 생각납니까? 아니면 하루 일을 쉬는 것이 생각납니까?

어느 곳에 사느냐에 따라, 메이데이에 대해 완전히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견해들은 서로 관련이 있습니다. 메이데이의 기원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오늘날 지키고 있는 메이데이에 대한 이해를 얻게 될 것입니다.

고대 기원

고대 로마에서 5월 1일은 봄과 꽃의 여신인 플로라를 기리기 위해 ‘플로랄리아’라고 이름 지은 축제 기간에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 기간에 사람들은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고 꽃 장식을 하고서 행진을 하였습니다. 특히 로마의 매춘부들에게는 이 축제가 즐거운 행사였습니다. 그들은 플로라가 자신들의 수호 여신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로마인들은 다른 나라들을 정복하면서 자기들의 관습도 가져갔습니다. 하지만 켈트인들이 살던 나라들에서는 예전부터 5월 1일에 벨테인 축제가 열려 왔다는 것을 로마인들은 알게 되었습니다. * 그 전날 저녁 즉 켈트인들의 새로운 하루가 시작되는 때에 사람들은 모든 불을 껐으며, 해가 떠오를 때 언덕 꼭대기나 신성한 나무 아래서 화톳불을 켜고 여름철과 생명의 소생을 환영하였습니다. 또한 소들을 목초지로 데리고 나가 신들에게 소들을 보호해 달라고 빌었습니다. 오래지 않아 플로랄리아 축제는 벨테인 축제와 혼합되어 메이데이 축제가 되었습니다.

독일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나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에게는 발푸르기스가 벨테인에 해당됩니다. 축제는 발푸르기스의 밤에 마녀들과 악령들을 쫓아내기 위해 화톳불을 켜는 것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다른 유럽인들도 그들 나름대로 메이데이 관습을 발전시켰으며, 그 가운데 많은 것이 지금까지 남아 있습니다.

그리스도교국의 교회들은 그러한 이교 축제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였습니다. “메이데이 즉 벨테인 축제일은 달력에 나오는 규제가 가장 적은 날이었으며, 그리스도교 교회와 기타 권위들이 결코 제대로 통제할 수 없었던 하나의 축제였다”고 영국의 「가디언」지는 보도합니다.

메이데이 관습

중세 시대에는 영국의 인기 있는 축일이 된 메이데이에 새로운 관습이 추가되었습니다. 남자들과 여자들이 인근의 숲 속에서 밤을 지내면서 꽃이나 꽃이 피는 나뭇가지를 모아 놓고 해가 뜰 때 ‘5월을 맞이’하였습니다. * 청교도인 필립 스터브스의 「악습의 해부」(The Anatomy of Abuses)라는 책자에 따르면, 부도덕이 만연하였습니다. 사람들은 흥청거리며 마을 한가운데 나무 하나를 메이폴로 세워 놓고는 하루 종일 그 주위에서 춤을 추고 놀았습니다. 스터브스는 이것을 가리켜 “고약스러운 우상”이라고 하였습니다. 사람들은 축제를 주관하는 메이퀸(5월의 여왕)을 뽑았으며, 종종 메이킹(5월의 왕)도 뽑았습니다. 메이폴과 메이퀸은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도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

메이데이와 관련된 이러한 관습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까?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원래 그러한 의식은 풍년을 기원하기 위한, 더 나아가 소와 사람의 다산을 기원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이 의미는 점차 사라졌으며 그 관습은 대중적인 축제로만 남아 있다.”

유행과 쇠퇴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가들은 이교 관습으로 여겨지던 이 축제를 뿌리 뽑으려 하였습니다. 칼뱅의 영향을 받은 스코틀랜드에서는 1555년에 메이데이를 금지하였습니다. 이어서 청교도가 주도하던 영국 의회에서도 1644년에 메이폴을 금지하였습니다. 영국에 왕이 없던 공화정 기간에는 메이데이의 “방탕한 관습들”이 억제되었습니다. 하지만 1660년에 군주제가 회복되면서 메이폴도 다시 세워지게 되었습니다.

메이폴 축제는 18세기와 19세기 초에 점차 쇠퇴하다가 비교적 최근에 와서 좀 더 도덕적인 모습으로 되살아났습니다. 전통적인 메이데이 관습으로 여겨지는 많은 것들, 이를테면 색색의 리본을 화려하게 엮어 놓은 메이폴 주위에서 어린이들이 춤을 추는 것과 같은 관습은 비교적 최근에 생긴 것입니다. 하지만 메이데이의 먼 과거를 연구하는 민속학자들은 이교에 뿌리를 둔 많은 관습들을 발견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 이민을 간 사람들은 신대륙으로 메이데이 관습도 함께 가져갔는데, 그들의 후손들 가운데는 아직도 전통적인 방식으로 메이데이를 지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나라에서 메이데이 또는 5월 1일 이후의 첫 월요일은 현재 그저 노동자들을 위한 휴일일 뿐입니다.

메이데이가 노동절이 되다

현대의 메이데이 관습인 시가행진과 데모는 북아메리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어떻게 해서 그곳에서 시작되었습니까? 산업 혁명으로 인해 끊임없이 돌아가는 새로운 기계들을 사용하게 되자, 공장주들은 대개 고용인들이 일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거의 16시간씩 일할 것을 기대하였습니다. 노동자들의 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미국과 캐나다의 노동조합 연맹은 1886년 5월 1일부터 8시간 노동제를 요구하였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고용주들은 이 요구를 거부했고, 그래서 5월 1일에 수많은 노동자들이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일리노이 주 시카고에서 발생한 헤이마켓 폭동으로 인해 미국의 노동 운동 사상 최초의 사망자들이 생겼으며, 네덜란드, 러시아, 스페인,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의 노동자들은 지원에 나섰습니다. * 1889년에 파리에서 열린 세계 사회주의 정당 회의에서는 1890년 5월 1일을 국제적으로 8시간 노동제를 지지하는 데모를 하는 날로 선포하였습니다. 그 이후로 이날은 해마다 노동자들이 더 나은 노동 조건을 요구하는 날이 되었습니다.

소련의 공화국들에서는 전통적으로 군사 퍼레이드를 하고 과학 기술의 업적을 전시하는 방법으로 메이데이를 지켰습니다. 오늘날 많은 나라에서는 5월 1일을 노동절 또는 세계 근로자의 날로 정해 놓고 있으며, 이날에는 일을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9월의 첫째 월요일에 노동절을 지킵니다.

고대와 현대의 관련성

메이데이는 언제나 대중적인 축제였습니다. 노동자들은 고용주의 승인이 있든 없든 하루를 쉬었습니다. 사회적 역할도 뒤바뀌게 되었습니다. 메이데이의 왕과 여왕은 보통 사람들 가운데서 뽑았으며, 지배 계층은 흔히 웃음거리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메이데이는 쉽게 노동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게 되었고, 20세기에 이르러서는 사회주의자들의 연중 주요 행사가 되었습니다.

고대의 메이데이와 마찬가지로, 세계 근로자의 날은 시가행진을 하는 날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메이데이 행사 기간에 폭력 사태가 벌어지는 일이 흔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2000년의 메이데이에는 세계 자본주의에 대한 전 세계적인 항의 집회가 있었습니다. 그날의 항의 집회는 싸움과 부상과 재산 파괴로 얼룩졌습니다.

변화의 필요가 충족되려면

인간이 절실하게 필요한 세계적인 변화를 가져와서 마음이 정직한 모든 사람에게 유익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이 현실적입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성서에 들어 있는 고대 잠언 즉 “자기 발걸음을 인도하는 것은 걷는 사람에게 있지 않습니다”라는 말은 거듭거듭 진리임이 입증되었습니다.—예레미야 10:23.

평화로운 세계 상태를 가져오려면 인간이 가진 힘보다 더 우월한 힘이 필요합니다. 그러한 힘의 근원은 땅을 창조하신 분인 여호와 하느님이십니다. 그분의 말씀인 성서에서는 그분이 “손을 펴시어 모든 생물의 소원을 만족시켜 주”시는 분이라고 알려 줍니다. (시 145:16) 우리는 당신이 하느님의 웅대한 약속들에 관해 더 알아보시도록 권하는 바입니다.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 추종자들에게 가르쳐 주신 모본이 되는 기도의 성취로, 하느님의 왕국은 올 것이며 하느님의 뜻은 땅에서 반드시 이루어질 것입니다. 성서의 약속에 따르면, 하느님께서 임명하신 통치자인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도와 달라고 부르짖는 가난한 이를, 또 괴로움당하는 자와 도와 줄 이 없는 모든 자를 ··· 구출할 것[입니다]. 그[분은] 낮은 자와 가난한 이를 아껴 보고 가난한 이들의 영혼들을 구원할 것이며, 그들의 영혼을 압제와 폭력으로부터 구속”할 것입니다.—시 72:12-14.

[각주]

^ 7항 벨테인(Beltane)은 켈트어를 영어로 음역한 표현 중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표현이다.

^ 11항 약 400여 년 전에 그레고리력이 도입되기 전에는 5월 1일이 지금보다 11일 늦었으므로, 날씨가 지금보다 따뜻했으며 나뭇가지에 잎이 많이 나와 있었다.

^ 19항 이 소요 사태는 파업 노동자들과 파업에 동조하지 않는 노동자들 사이에서 싸움이 일어나 몇몇 노동자들이 죽고 난 바로 다음 날 발생하였다.

[12면 삽화]

메이데이 때마다 런던의 한 교회 바깥에 세워진 16세기의 메이폴

[자료 제공]

From the book Observations on Popular Antiquities

[14면 삽화]

2000년 메이데이 날에 열린 자본주의 반대자들의 항의 집회, 영국 런던

[자료 제공]

© Philip Wolmuth/Panos Pictures